맨위로가기

카를 마리아 폰 베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 마리아 폰 베버는 독일의 작곡가로, 1786년 오이틴에서 태어나 1826년 런던에서 사망했다. 그는 독일 낭만주의 오페라의 선구자로서, 《마탄의 사수》, 《오베론》 등의 오페라와 관현악곡, 피아노곡 등을 작곡했다. 베버는 모차르트의 독일어 징슈필 전통을 계승하여 독일 낭만주의 오페라 양식을 확립했으며, 오케스트라 배치를 현대적인 형태로 발전시키고 지휘봉을 처음 사용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를 마리아 폰 베버 - 프리드리히 질허
    프리드리히 질허는 독일의 작곡가이자 음악 교육자로, 튀빙겐 대학교 음악 감독을 역임하며 합창 운동에 기여했고 독일 및 국제 민요 편곡을 통해 합창 음악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와인 품종과 소행성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 카를 마리아 폰 베버 - 미하엘 하이든
    미하엘 하이든은 요제프 하이든의 동생으로, 잘츠부르크에서 360곡 이상의 교회 음악과 기악 작품을 작곡했으며 모차르트에게 영향을 주었고, 종교 합창곡, 교향곡, 협주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기고 카를 마리아 폰 베버와 안톤 디아벨리 등을 제자로 길러낸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이다.
  • 1826년 사망 - 존 애덤스
    존 애덤스는 미국의 제2대 대통령이자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미국 독립 혁명 시기 독립 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독립 후에는 외교관,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프랑스와의 준전쟁 해결, 해군 창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826년 사망 - 니콜라이 카람진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카람진은 러시아의 저명한 작가이자 역사가로, 혁신적인 산문과 『러시아 국가의 역사』 저술, 감상주의 문학 도입, 잡지 창간, 러시아 역사 연구의 지평을 열었으며, 러시아 알파벳에 'Ё/ё' 자를 도입하고 알렉산더 1세의 정치적 조언자로도 활동했다.
카를 마리아 폰 베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821년의 베버, 캐롤라인 바르두아 그림
1821년, 캐롤라인 바르두아 그림
본명카를 마리아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폰 베버
출생일1786년 11월 18/19일
출생지오이틴, 뤼베크 주교후국, 신성 로마 제국
사망일1826년 6월 5일
사망지런던, 잉글랜드, 영국
직업작곡가
지휘자
피아니스트
기타 연주자
음악 평론가
작품
주요 작품 목록작품 목록

2. 생애

모차르트징슈필 전통을 계승하여, 《마탄의 사수》로 독일 낭만파 오페라 양식을 확립하고 리하르트 바그너에게 영향을 준 작곡가이다. 모차르트와는 친척 관계이며, 오케스트라 배치를 현대적으로 바꾸고 지휘봉을 처음 사용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5]

11세에 처음 오페라를 작곡했고, 《마탄의 사수》, 《오베론》 등의 오페라와 《무도회의 권유》 같은 기악곡을 남겼다. 소아마비를 앓았다고 전해지며, 질산을 와인으로 착각해 마시는 바람에 목소리를 잃기도 했다.[5]

1813년 프라하 가극장 예술 감독을 맡아 쇠퇴하던 가극장을 부흥시켰고, 1817년 작센 궁정 악장으로 임명되어 드레스덴 가극장에서 독일 오페라를 정착시키는 데 성공했다.[5] 1821년마탄의 사수》 초연은 독일 국민 오페라의 금자탑으로 평가받는다.

1826년 런던 코벤트 가든 극장의 의뢰로 영어 오페라 《오베론》을 작곡, 지휘하여 성공을 거두었으나, 결핵으로 6월 5일 런던에서 3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 1844년 바그너의 도움으로 유해가 드레스덴으로 돌아왔다.[5]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카를 마리아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폰 베버는 1786년 11월 18일경 오이틴에서 태어났다. 그는 프란츠 안톤 폰 베버와 그의 두 번째 부인인 제노페파 베버의 세 자녀 중 장남이었다. 1786년 11월 20일에 가톨릭 세례를 받았다.[5] ""은 귀족이 아니었던 아버지의 허영심에서 비롯된 것이었다.[5]

아버지 프란츠 안톤은 재능 있는 바이올리니스트였으며, 베버를 모차르트와 같은 신동으로 만들려는 야망을 가지고 있었다. 베버는 선천적인 고관절 질환을 가지고 태어나 네 살이 되어서야 걷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때 이미 그는 유능한 가수이자 피아니스트였다.[5]

프란츠 안톤은 베버에게 포괄적인 교육을 제공했지만, 가족의 잦은 이사로 인해 자주 중단되었다. 1796년, 베버는 튀링겐 힐드부르크하우젠에서 오보이스트 요한 페터 호이슈켈에게 음악 교육을 받았다.[5] 1797년 가을 잘츠부르크로 이사한 후, 1798년부터 요제프 하이든의 동생인 미하엘 하이든에게 배웠다.[5]

잘츠부르크에서의 시간은 1798년 3월 13일 결핵으로 사망한 어머니와 1798년 12월 29일 뮌헨에서 사망한 한 살 된 여동생의 죽음으로 얼룩졌다.[5]

1798년 가을, 베버는 뮌헨으로 이주하여 요한 에반겔리스트 발리샤우저에게서 성악을 배우고, 요한 네포무크 칼허에게 작곡을 배웠다. 12세의 베버가 작곡한 피아노를 위한 여섯 개의 푸게타가 라이프치히에서 출판되었다.[5]

베버의 음악 교육은 알로이스 제네펠더와 프란츠 글라이스너의 공방에서 배운 석판술의 숙달로 확장되었다 (1799년 가을).[5]

1800년, 가족은 작센의 프라이베르크로 이사했으며, 당시 14세였던 베버는 ''Das stumme Waldmädchen'' (''침묵의 숲 소녀'')이라는 오페라를 작곡했다. 이 오페라는 프라이베르크와 켐니츠 극장에서 공연되었고, 나중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 (1804), 비엔나, 프라하 (1806)에서 공연되었다.[5] 젊은 베버는 또한 음악 평론가로 활동했다.[5]

1801년, 가족은 잘츠부르크로 돌아왔고, 베버는 미하엘 하이든에게 학업을 재개했다. 베버는 세 번째 오페라 ''페터 슈몰 운트 자이네 나흐바른'' (''페터 슈몰과 그의 이웃'')을 작곡했다.[5] 1802년 콘서트 투어 후, 베버 가족은 아우크스부르크로 돌아왔다.[5]

1803년 중반, 베버는 에서 게오르크 요제프 포글러와 함께 공부를 계속했다. 다름슈타트에서 포글러의 또 다른 유명한 제자는 자코모 마이어베어였으며, 그는 베버의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5]

2. 2. 초기 경력 (1804-1810)

1804년, 포글러는 17세의 베버를 브레슬라우 오페라의 감독으로 추천했고, 베버는 그 자리를 수락했다.[5] 그는 늙은 가수들을 은퇴시키고 오케스트라를 확장하며 더 어려운 레퍼토리를 다루면서 오페라를 개혁하려 했다. 오케스트라 감독으로서 그의 야심차고 헌신적인 노력은 인정받았지만, 그의 템포는 너무 빠르다는 비판을 자주 받았다. 일상적인 업무로 인해 자신의 창작 활동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할 수 없었기에 베버는 2년의 임기를 연장하지 않았다.

뷔르템베르크 공작 오이겐의 궁정에서 잠시 브레슬라우에 머문 후, 베버는 1807년부터 1810년까지 슈투트가르트에서 뷔르템베르크 국왕 프리드리히 1세의 동생인 루트비히 공작의 개인 비서로 일했다. 베버는 뷔르템베르크에서 고난의 시기를 겪었다. 그는 깊은 빚에 시달렸고, 고용주가 군 복무를 면제해주는 공작의 복무 증명서를 판매하는 등 재정적인 조작에 연루되었다. 베버는 횡령과 뇌물 수수 혐의로 체포되었다. 그는 혐의를 반박할 수 있었지만, 국왕의 동생인 실질적인 조작자를 보호하기 위해 사건은 민사 소송으로 처리되었다. 베버는 비용을 지불하는 데 동의했고(마지막 지불은 1816년에 이루어졌다), 아버지와 함께 뷔르템베르크에서 추방되었다.

침착하게 정신을 차린 베버는 자신의 지출과 서신을 기록하고 특별한 사건에 대한 간헐적인 언급을 하기 위해 일기를 쓰기 시작했다.

베버는 이 기간 동안 작곡가로서 왕성한 활동을 이어가며 주로 가톨릭 미사를 위한 다량의 종교 음악을 작곡했다. 그러나 이는 전통적인 성가를 전례에 재도입하려는 보수주의자들의 적대감을 샀다. 워랙은 베버의 전기를 통해 베버가 뛰어난 기타리스트였다고 언급한다. 그의 기타 반주가 있는 첫 번째 노래 "사랑의 마법"이 인쇄된 해이기도 하다. 그의 가장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노래 중 일부는 이듬해에 작곡되었으며, "Er an Sie"(1808)와 "Was zieht zu deinem Zauberkreise"(1809)가 그 예이다.

2. 3. 전성기 (1810-1826)

1810년, 베버는 독일 전역의 여러 도시를 방문했다. 1811년은 그의 경력에 중요한 해였는데, 뮌헨 궁정 클라리넷 연주자 하인리히 바어만을 만나 함께 작업했고, 내림 E 장조, 작품 26, J. 109번 콘체르티노와 두 개의 협주곡 J. 114번 및 J. 118번을 그를 위해 작곡했다. 1811년 12월부터 1812년 3월까지 베버는 바어만과 함께 클라리넷 작품을 연주하며 순회 공연을 떠났고, 이 투어의 마지막 콘서트에서 베버의 작품에 대한 대중, 비평가, 왕족의 의견이 바뀌었고, 그해 말 베를린에서 ''실바나''를 성공적으로 공연하는 데 기여했다.[1]

드레스덴 근처 베버의 별장 (1818–1824); 카를 마리아 폰 베버 박물관


1813년부터 1816년까지 그는 프라하 오페라의 감독을 맡았고, 1816년부터 1817년까지는 베를린에서 일했으며, 1817년부터는 권위 있는 드레스덴 오페라의 감독으로 활동하며 18세기 이후 유럽 음악계를 지배해 온 이탈리아 오페라에 대항하여 독일 오페라를 확립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이러한 노력에 있어 ''슈투름 운트 드랑'' 시대의 이상과 아르님브렌타노의 독일 민요집 "어린이의 마술피리"에서 영감을 받았다. 1816년에는 기타와 피아노를 위한 이중주 작품 38번을 작곡했는데, 이는 훔멜이나 디아벨리와 같은 작곡가들이 빈에서 출판한 비슷한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1817년 11월 4일, 그는 ''실바나''의 타이틀 역할을 창조한 가수 카롤리네 브란트와 결혼했다.[2] 1819년에는 아마도 그의 가장 유명한 피아노 작품인 ''무도회의 권유''를 작곡했다.

카를 마리아 폰 베버 (1825) 페르디난트 쉬몬(Ferdinand Schimon)의 초상, 드레스덴, 시립 미술관


1821년 6월 18일 베를린에서 ''마탄의 사수''가 성공적으로 초연되면서 유럽 전역에서 공연이 이어졌다. 초연 당일 아침에 베버는 그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f단조 콘체르트슈튀크''를 완성했고, 일주일 후에 초연했다.

1823년 베버는 헬미나 폰 체지의 대본에 맞춰 최초의 (그리고 유일한) 장편 통작 형식 오페라 ''에우리안테''를 작곡했는데, 그 중 여러 구절(특히 악당 부부 리지아르와 에글란틴을 위한 음악)은 리하르트 바그너의 초기 낭만 오페라를 예고한다. 1824년, 베버는 런던의 로열 오페라로부터 크리스토프 마르틴 비란트의 동명의 시를 바탕으로 한 ''오베론''을 작곡하고 제작해달라는 초청을 받았다. 베버는 초청을 수락했고, 1826년에는 작품을 완성하고 4월 12일에 초연하기 위해 영국으로 갔다.

베버는 런던을 방문했을 때 이미 결핵을 앓고 있었다. 그는 4월과 5월에 런던에서 ''오베론''의 초연과 12번의 매진 공연을 지휘했고, 급격히 악화되는 건강에도 불구하고 개인 콘서트와 자선 행사를 위한 약속을 계속 지켰다.

그는 1826년 6월 5일 밤, 그의 좋은 친구이자 주최자인 조지 스마트 경의 집에서 잠을 자다가 사망했다. 향년 39세였다. 그는 런던에 묻혔다.

18년 후인 1844년 12월, 그의 유해는 7주 전에 홍역으로 사망한 막내 아들 알렉산더의 묘소 옆인 드레스덴 구 가톨릭 묘지에 있는 가족 묘지로 이장되었다. 고트프리트 셈퍼가 디자인한 단순한 묘비는 북쪽 경계 벽에 기대어 있다. 바그너는 재매장을 위해 장송곡 "베버의 무덤에서" WWV 72를 작곡했다.[3] 무반주 남성 합창을 위한 이 곡은 1844년 12월 16일 드레스덴에서 초연되었다.[4] 이 기회를 위해 바그너는 또한 베버의 "에우리안테"의 주제를 사용한 관악기를 위한 장례 음악, WWV 73을 작곡했다.

베버의 미완성 코믹 오페라 ''세 명의 핀토스''는 원래 그의 미망인이 마이어베어에게 완성을 위해 넘겼고, 결국 구스타프 말러가 완성하여 1888년 1월 20일 라이프치히에서 초연했다.

2. 4. 사후

1826년, 런던코벤트 가든 극장의 의뢰로 영어 오페라 Oberon|오베론영어을 작곡했다. 당시 결핵을 앓고 있었지만, 가족 부양을 위해 병을 숨기고 영국으로 건너가 직접 지휘하여 대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병세가 악화되어 같은 해 6월 5일 런던에서 객사했다. 39세였다.[5] 코벤트 가든에 면한 세인트 폴 교회에 매장되었으나, 1844년 12월, 그의 음악적 유지를 이은 바그너의 도움으로 런던에서 드레스덴으로 귀환했다.[5] 데스 마스크가 현존한다.[6]

3. 주요 작품

베버는 오페라와 기악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그의 작품 목록은 일반적으로 프리드리히 빌헬름 옌스(Friedrich Wilhelm Jähns)의 "C.M.von Weber in seinen Werken" (1871/1967)에 의한 '''옌스 번호''' (J.)가 사용된다.[1]

자세한 내용은 카를 마리아 폰 베버의 작품 목록과 카를 마리아 폰 베버의 오페라 목록을 참조.

3. 1. 오페라

모차르트독일어징슈필 전통을 계승하여, 《마탄의 사수》로 독일 낭만파 오페라 양식을 확립하고 리하르트 바그너에게로 흐름을 이끈 작곡가로서 중요하다.[1]

11세에 처음으로 오페라를 작곡하였으며, 《마탄의 사수》나 《오베론》 등의 오페라 외에도 《무도회의 권유》 등의 기악곡도 남겼다.[1]

베버의 주요 오페라 작품은 다음과 같다.

작품 번호제목초연 연도비고
Anh.1『숲의 딸』1800년단편만 현존
J.8『페터 슈몰과 그의 이웃들』1803년
『뤼베찰』1804년단편만 현존
J.87『실바나』1810년
J.106『아부 하산』1811년
Anh.5『세 명의 핀토』1888년1막 스케치, 말러 보필 완성 (1820~21년 작곡)
J.277마탄의 사수1821년독일 국민 오페라 대표작, 나치 시대에 널리 연주
J.291『오이리안테』1823년
J.306『오베론, 또는 요정 왕의 서약』1826년


3. 2. 기악곡

베버는 오페라 외에도 다양한 기악곡을 남겼다. 그는 11세에 처음으로 오페라를 작곡했으며, 피아노 협주곡, 클라리넷 협주곡 등 여러 협주곡과 피아노 소나타, 실내악곡, 피아노 독주곡 등 다양한 장르의 기악곡을 작곡했다.

  • 협주곡
  • 피아노 협주곡 1번 다장조 작품 11 J.98
  • 피아노 협주곡 2번 내림마장조 작품 32 J.155
  •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콘체르토슈튀크(소협주곡) 바단조 작품 79 J.282
  • 클라리넷 소협주곡 다단조 작품 26 J.109
  • 클라리넷 협주곡 1번 바단조 작품 73 J.114
  • 클라리넷 협주곡 2번 내림마장조 작품 74 J.118
  • 바순 협주곡 바장조 작품 75 J.127
  • 호른 소협주곡 마단조 작품 45 J.188
  • 오스트리아 민요에 의한 6개의 변주곡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 J.49
  • 그랑 포폴리 라장조 (첼로와 오케스트라) 작품 20 J.64
  • 안단테와 변주곡 라단조 (첼로와 오케스트라) J.94
  • 로만차 시칠리아나 사단조 (플루트와 오케스트라) J.47
  • 안단테와 헝가리풍 론도 다단조 (비올라 또는 바순과 오케스트라) 작품 35 J.79(비올라판), J.158(바순판)

  • 실내악곡
  • 피아노 사중주 내림 나장조 작품 18 J.76
  • 6개의 바이올린 소나타 작품 10 J.99~104
  • 아다지오와 론도 바장조 J.115 (클라리넷, 호른, 바순 각 2)
  •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멜로디 바장조 J.119
  • 《실바나》의 아리아에 의한 협주적 변주곡 작품 33 J.128 (클라리넷과 피아노)
  • 클라리넷 5중주곡 내림 나장조 작품 34 J.182
  •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협주적 대이중주곡 내림 마장조 작품 48 J.204
  • 기타와 피아노를 위한 매우 쉬운 디베르티멘토 작품 38 J.207
  • 플루트 3중주곡 사단조 작품 63 J.259

  • 피아노 독주곡
  • 피아노 소나타 1번 다장조 작품 24 J.138
  • 피아노 소나타 2번 내림 가장조 작품 39 J.199
  • 피아노 소나타 3번 라단조 작품 49 J.206
  • 피아노 소나타 4번 마단조 작품 70 J.287
  • 6개의 푸게타 작품 1 J.1~6
  • 창작 주제에 의한 6개의 변주곡 다장조 작품 2 J.7
  • 12개의 알망드 작품 4 J.15~26
  • 6개의 에코세즈 J.29~34
  • 포글러의 『카스토르와 폴룩스』의 에르 드 발레에 의한 8개의 변주곡 바장조 작품 5 J.40
  • 비안키의 『이리 오세요, 아름다운 도리나여』에 의한 7개의 변주곡 다장조 작품 7 J.53
  • 창작 주제에 의한 7개의 변주곡 바장조 작품 9 J.55
  • 모멘토 카프리치오소 작품 12 J.56
  • 그랜드 폴로네즈 작품 21 J.59
  • 메율의 『이집트의 요제프』의 로망스에 의한 7개의 변주곡 다장조 작품 28 J.141
  • 프랑스 왕비 마리 루이즈의 친숙한 왈츠 J.143~8 (전 18곡)
  • 러시아 민요 『아름다운 민카, 저는 헤어져야만 합니다』에 의한 9개의 변주곡 작품 40 J.179
  • 집시의 노래에 의한 7개의 변주곡 작품 55 J.219
  • 화려한 론도 『희롱』 내림 마장조 작품 62 J.252
  • 무도회의 권유 내림 라장조 작품 65 J.260
  • 화려한 폴라카 『웃음보따리』 마장조 작품 72 J.268

  • 4 hands 피아노곡
  • 4 hands 피아노를 위한 6개의 쉬운 소품 O 작품 3 J.9~14
  • 4 hands 피아노를 위한 6개의 소품 작품 10 J.81~86
  • 4 hands 피아노를 위한 6개의 소품 작품 60 J.248, 264, 253, 242, 236, 255, 266, 254

3. 3. 기타 작품


  • Turandot|투란도트|투란도트de 작품 37 J.75 (1809년)
  • König Yngurd|잉글토 왕|잉글토 왕de J.214 (1817년)
  • Donna Diana|도나 디아나|도나 디아나de J.220 (1817년)
  • Henri Quatre, roi de France|프랑스 왕 앙리 4세|프랑스 왕 앙리 4세프랑스어 J.237 (1818년)
  • Sappho|자포|자포de J.240 (1818년)
  • Die innige Liebe|진심으로 사랑|진심으로 사랑de J.246 (1818년)
  • Der Leuchtturm|등대|등대de J.276 (1820년)
  • Preciosa|프레치오자|프레치오자de 작품 78 J.279 (1820년)
  • Heut' muss der Sachse sich entscheiden|오늘이야말로 작센의 아이에게 시집보내리|오늘이야말로 작센의 아이에게 시집보내리de J.289 (1822년)
  • Der Österreich-Vertraeger|오스트리아 페르트라거|오스트리아 페르트라거de Anh.43~45 (소실) (1813년)
  • 칸타타: 《전쟁과 승리》 작품 44 (1815년)
  • 《축전 칸타타》 작품 58 (1818년)
  • 중창곡 《자연과 죽음》 작품 61 (1818년)
  • 남성 합창곡: 《리라와 검》 작품 42 (1814년)
  • 5개의 남성 4부 합창곡 작품 53 (1814년)
  • 6개의 남성 4부 합창곡 작품 68 (1812년)
  • 기타 반주가 있는 5개의 노래 작품 13 (1818년)
  • 6개의 노래 작품 15 (1818년)
  • 8개의 노래 작품 64 (1819년)
  • 6개의 노래 작품 66 (1818년)

4. 음악적 특징 및 영향

베버의 오페라 《마탄의 사수》, 《에우리안테》, 《오베론》은 독일 낭만 오페라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1] 《마탄의 사수》는 최초의 독일 오페라로 간주되었으며,[2] 《에우리안테》는 전례 없는 수준으로 라이트모티프 기법을 발전시켰다. 《오베론》은 멘델스존의 《한여름 밤의 꿈》 음악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베버가 평생 동안 비서구 문화의 음악에 관심을 가졌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관심은 실러고치의 《투란도트》를 번역한 작품에 베버가 부수 음악으로 사용한 데서 처음 나타났다. 그는 중국 선율을 사용하여, 모차르트 등이 유행시킨 가짜 터키풍이 아닌 아시아 선율을 사용한 최초의 서양 작곡가가 되었다.

드레스덴의 에 있는 베버의 묘


베버의 클라리넷, 바순, 호른을 위한 작품은 음악 레퍼토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두 개의 협주곡, 콘체르티노, 오중주곡, 듀오 콘체르탄테, 그리고 그의 오페라 《실바나》의 주제에 대한 변주곡을 포함한 클라리넷 작품은 오늘날에도 정기적으로 연주된다. 그의 호른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콘체르티노는 연주자가 연주하면서 허밍을 통해 동시에 두 음을 내도록 요구하는데, 이는 "멀티포닉"으로 알려진 기법이다. 그의 바순 협주곡과 《헝가리풍 안단테와 론도》(원래 비올라와 오케스트라를 위해 작곡된 곡의 개작)도 바수니스트들에게 인기가 있다.

베버의 성악 및 합창 음악에 대한 공헌 또한 중요하다. 그의 가톨릭 종교 음악은 19세기 독일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으며, 초기 가곡집 중 하나인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에 따른 네 가지 기질》(Die Temperamente beim Verluste der Geliebten)을 작곡했다. 베버는 피아노바이올린 없이 지휘한 최초의 지휘자 중 한 명으로도 주목받았다.

베버의 관현악법은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베를리오즈는 그의 《관현악법론》에서 여러 번 그를 언급했다. 드뷔시는 베버 오케스트라의 사운드는 각 악기의 영혼을 면밀히 살펴보아 얻어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의 오페라는 독일의 마르슈너,[3] 마이어베어, 바그너[4]와 같은 후대 오페라 작곡가들뿐만 아니라 음악적 민족주의의 여러 19세기 작곡가들, 예를 들어 글린카에게 영향을 미쳤다. 드뷔시스트라빈스키와 같은 많은 20세기 작곡가들이 베버에게 경의를 표했다. 말러는 베버의 미완성 희극 오페라 《세 명의 핀토스》를 완성하고 《에우리안테》와 《오베론》을 수정했으며, 파울 힌데미트는 베버의 덜 알려진 건반 작품과 《투란도트》의 부수 음악을 바탕으로 《베버 주제에 의한 교향적 변용》을 작곡했다.

베버는 음악 저널리즘을 썼고 민요에 관심을 가졌으며, 자신의 작품을 새기기 위해 석판 인쇄 기술을 배웠다.

뛰어난 피아노 연주자였던 베버는베버가 피아니스트로서 거장이라는 점을 언급하는 출처는 다음과 같다:

  • Johann Peter Heuschkel영어... 베버의 피아노 연주 기교의 기초를 다졌다.[1]
  • 그는 또한... 거장 피아니스트를 포함한 많은 다른 것들이었다.[4]
  • 순회 공연을 하는 거장... 4개의 피아노 소나타, 2개의 협주곡, 《피아노 협주곡 F단조》(Konzertstück in F minor)를 작곡했는데, 이는 쇼팽, 리스트, 멘델스존과 같은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4] 《Konzertstückde》은 여러 대조적인 섹션으로 구성된 단악장 협주곡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으며(리스트와 같이 자주 이 곡을 연주했음), 스트라빈스키는 자신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카프리치오》의 모델로 인정했다. 베버의 짧은 피아노 곡 《무도회의 권유》는 베를리오즈에 의해 관현악 편곡되었으며, 《화려한 폴로네이즈》는 리스트에 의해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해 편곡되었다. 그러나 베버의 피아노 음악은 레퍼토리에서 거의 사라졌다. 클라우디오 아라우 (제1 소나타), 알프레드 코르토와 에밀 길렐스 (제2 소나타), 스비아토슬라프 리흐테르 (제3 소나타), 레온 플라이셔 (제4 소나타)의 개별 소나타 음반이 있다. 《무도회의 권유》는 베를리오즈가 《마탄의 사수》의 파리 공연을 위한 발레 음악으로 관현악 편곡한 것으로 더 잘 알려져 있지만, 피아니스트들에 의해 오랫동안 연주되고 녹음되어 왔다(예: 벤노 모이지비치가 카를 타우지히의 편곡으로 연주). 《무도회의 권유》는 베니 굿맨의 라디오 프로그램 《렛츠 댄스》의 스윙 음악 주제가이기도 했다.


모차르트독일어징슈필 전통을 계승하여, 《마탄의 사수》로 독일 낭만파 오페라 양식을 확립하고 리하르트 바그너에게로 흐름을 이끈 작곡가로서 중요하다.

11세에 처음으로 오페라를 작곡하였고, 《마탄의 사수》, 《오베론》 등의 오페라 외에도 《무도회의 권유》 등의 기악곡도 남겼다. 오케스트라 배치를 현재와 가까운 형태로 바꾸고, 지휘봉을 처음 사용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모차르트의 아내 콘스탄체는 부계 쪽 사촌으로, 모차르트와 친척 관계이다.

참조

[1] 서적 Clarinet Virtuosi of the past Emerson Edition
[2] 웹사이트 Carl Maria von Weber http://music.yodelou[...]
[3] 서적 Being Wagner: The Triumph of the Will
[4] 문서 An Weber's Grabe
[5] 웹사이트 Carl Maria von Weber https://www.findagra[...]
[6] 이미지 参照 https://cms.www.coun[...]
[7] 웹사이트 (4152) Weber = 1976 UO10 = 1985 JF https://minorplanetc[...] MPC 2021-10-05
[8] 서적 재미있는 음악사 이야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